S-N-S-D-A-D 11

금전 등록기 (Cash Register) - 3

POS와 금전 등록기의 기능 중에서 종업원 관리 관련 기능 정리. 시작 글은 금전 등록기 (Cash Register) - 2 종업원의 설정 부분을 보면 그 내용이 매우 다양하다. Sign-in / Time-in 설정, 수행하는 업무와 그에 따르는 시급, 초기화면과 판매 가능한 상품, 팁의 유형, POS/금전 등록기의 각 기능에 대한 접근 권한부터 POS 작동시 어느 손을 사용하는지까지 종업원별로 상세하게 설정 가능하다. 출퇴근(Time-in/out) 관리와 종업원별 매출 관리는 기본중의 기본이다. 미국/유럽에서는 종업원 급여를 시급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출퇴근 시간 관리가 필수이고, 중간 break time을 일하는 시간에서 빼기도 하고 같은 사람이 다른 업무를 할 경우 다른 시급을 적..

S-N-S-D-A-D 2022.11.23

금전 등록기 (Cash Register) - 2

IT 강국에 걸맞게 일찌감치 PC POS (Point of Sale)로 넘어간 우리 나라에서 금전 등록기 하면 30년 전에도 한물 간 구닥다리 제품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지금은 금전 등록기라고 하면 대부분이 모르는 용어이고 40대 이상은 장황하게 설명하면 알긴 하지만 그 아래 연령대에게는 설명 조차 불가능하다. 국내에 중고 금전 등록기가 판매용으로 가끔 올라와 있기는 하지만 실제 판매하는 것인지 수 년 전에 올려 두고 방치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금전 등록기는 이제 역사 저편으로 넘어 갔지만, 사실 지금의 POS가 가진 대부분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POS에 있는 수 많은 기능중 일부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POS에 있는 수 많은 기능들을 대부분 가지고 있었다. 다만 각 기능들이 POS에..

S-N-S-D-A-D 2022.11.22

주차 정산기 호출 버튼

요즘 대세인 무인 주차장. 주차관리인이 없어서 인건비를 아낄 수 있는 건 표면적인 이유이고, 일부이긴 하지만, 주차 관리인이 삥땅치는 돈이 어마어마하다는 얘기는 공공연한 비밀이다. 차량 출입 통제와 결제를 모두 기계가 하니 빠르고 정확하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가 조작하고, 차단기와 같은 메커니즘이 있고, 차량의 무게와 진동으로 인한 외부 스트레스, 실외 설치에 따른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해 잔 고장이 무척 잦다. 주차장의 기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정산기의 호출 버튼을 누르면 콜센터 직원이 원격으로 도움을 주게 된다. 콜센터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막강해서, 현장 CCTV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기기들을 재기동할 수 있고, 현장의 입출차 정보와 결제기기 로그를 조..

S-N-S-D-A-D 2022.11.05

주차장 입구 루프 코일 설치

테슬라 자율주행에는 오로지 카메라만 사용된다. 사람도 시각 정보에만 의존해서 운전하는데 왜 레이더나 라이더가 필요하냐며 초기에 출시하여 레이더나 라이더가 달린 모델도 S/W upgrade를 통해 그 기능을 disable시켰다. 주차장 입구와 출구 바닥에는 루프 코일이 매설되어 있다. 이 루프 코일 위를 자동차가 지나가면 변화하는 기전력의 차이로 차량을 감지한다.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LPR을 작동시키고, 차량이 차단기를 지나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입구에 2개, 출구에 3개 정도의 루프 코일을 설치한다. 루프 코일은 설치가 쉽지만, 잘 설치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전선을 촘촘하게 꼬아서 매설하고 차량이 지나가도 흔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근처에 전력선이 지나가거나 강한 자..

S-N-S-D-A-D 2022.10.30

금전 등록기 (Cash Register) - 1

금전등록기의 역사는 상당히 길다. 19세기 말, 기계식 금전 등록기 (Mechanical Cash Register)가 등장한 이후, 전자식 금전 등록기를 거쳐 이제는 POS terminal로 바턴을 넘겼지만, 해외에서는 아직도 많은 국가에서 금전 등록기를 사용하고 있다. (NCR이라는 회사의 사명이 National Cash Register에서 왔다는 걸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기계식 금전 등록기를 사용했다는 흔적은 찾기 힘들고 가끔 인테리어 소품으로 전시되어 있는 것을 보곤 한다.. 기계식 타자기처럼. 1970년대 말, 부가가치세가 도입되고 영수증 발급이 의무화가 되면서 삼성전자와 금성사(현 LG전자)가 금전 등록기 사업에 뛰어 들었다. 삼성 금성 외에도 중소 업체에서도 여럿 뛰어들 정도..

S-N-S-D-A-D 2022.10.27

주차장의 번호판 인식기 설치

주차장 출입시에 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무인으로 운영하는 게 대세가 되었다. 현장에 관리 인력 없이 24시간 운영할 수 있다는 건 주차장 소유자에게는 큰 매력이 아닐 수 없는데, 핵심은 번호판 인식기 (LPR : License Plate Recognition or License Plate Reader). LPR을 가장 널리 활용하고 있는 나라가 한국과 일본인데, 도로 포장과 관리가 잘 되어 번호판의 오염이 적고 번호판의 모양이 거의 일정하고 차량 사용자가 차량을 잘 관리하기 때문에 인식률이 비교적 높다. 요즘은 기계학습을 이용해서 인식률을 높혔다고 홍보를 하는데, 사실 인식률은 과거와 큰 차이가 없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실질 인식률은 98%~99% 사이이다. 그 정도면 좋은거 아니냐고 하겠지만 코..

S-N-S-D-A-D 2022.10.24

주차장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우리나라의 개인 정보는 이미 공공재라고 할 정도이지만 여전히 개인 정보는 민감하고 중요하다. 몇년전 방송통신위원회가 규모가 있는 주차장비/관리 업체들을 조사한 일이 있었다. 이 때 문제가 된 건 개인 위치 정보. 예를 들어 보자. 주차장 관리사의 앱을 설치하고 회원 가입을 하면, 앱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내 주변 또는 목적지의 주차장 위치를 알 수 있고 빈 자리가 있는지 알 수 있고 예약을 하고 요금 계산을 할 수 있다. 그 외에 주차장 이용 내역도 확인이 가능했는데, 이 부분에서 문제가 됐다. 차량번호만 알면 누군가가 언제 어느 주차장을 이용했는지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된거다.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소스코드를 샅샅이 훑어서 보완했고, 개인 정보 관리 지침을 업데이트해야 했다. (개인 ..

S-N-S-D-A-D 2022.10.23

타자기의 correction 기능과 글자 효과

전자식 타자기 (Electronic typewriter)에는 correction 기능이 있다. 글자를 타이핑한 후 BACKSPACE key를 누르면, carriage가 한 칸 뒤로 가서 black ribbon 대신 correction tape를 올리고 해당 글자를 때리게 되면 인쇄된 글자가 지워진다. 한번 때려서는 깨끗하게 지워지지 않으므로 carriage를 상하좌우로 조금씩 옮겨서 correction tape를 감아가며 여러번 때린다. 이걸 거꾸로 응용해서 재미있는 장난을 많이 했는데, 'A'를 한번 찍으면 아래와 같이 된다. carriage를 옆으로 살짝 옮겨서 한번 더 찍으면 두꺼운 A (Bold)가 된다. carriage를 상하좌우로 옮겨가며 찍으면 아주 두꺼운 A가 되는데, 한 가운데를 corr..

S-N-S-D-A-D 2022.10.21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영어 알파벳 26개를 모두 사용한 문장. Pangram이라고 한다. 전자식 타자기를 개발하면서 저 문장을 수천번은 쳤겠지만 나의 타이핑은 아직도 독수리 타법에 머물고 있다. 휠의 반대편에 있는 두 글자를 번갈아 찍는 악조건 테스트를 해도 잘 동작하던 타자기지만 전문 타이피스트가 타이핑하면 타자기의 인쇄 속도가 따라오지 못해 키버퍼가 금방 꽉 차버린다. 메모리를 비롯한 모든 리소스가 턱없이 부족해서 16KB의 EPROM과 512~4096 byte 정도의 RAM이 고작이었기에 버퍼를 늘릴 수 없었고, 버퍼를 늘린다고 하더라도 타이핑하고 한참 뒤에 인쇄되는 타자기를 살 사람은 없었다. 내가 부서 배치를 받고 2-3일 타자기를 만지며 놀고 있을 때, 선배가 8051 reference manual을 던져주며 보라..

S-N-S-D-A-D 2022.10.14

Electronic typewriter

30년도 더 된 일이라 기억의 오류가 있을 수 있음. 신입사원 입무교육 후 배치받은 부서에서는 전자식 타자기 firmware를 개발했다. 키보드에 타입바가 연결된 기계식 타자기와는 달리, 키를 누르면 100개의 글자가 새겨진 휠이 돌아가면서 인쇄하는 구조. 2 key rollover 방식의 keyscan은 16 byte 정도의 키 버퍼가 있었다. 키를 누르면 빠르게 인쇄하기 위해 shortcut을 찾아 휠을 CW 혹은 CCW 방향으로 돌리고, 기어 백래시와 휠 type의 흔들림이 멈추도록 잠시 대기한다. 이 시점에서 롤러-종이-리본-눌러진 키 타입-헤더가 정렬되어 있다. 이제 헤더로 키타입 뒷부분을 때리기만 하면 되는데 글자에 따라 키타입의 무게가 다르다 보니 같은 힘으로 때리면 글자별로 굵기가 차이가 ..

S-N-S-D-A-D 2022.10.13